C반응단백

C-reactive protein
목적인체 내 염증 여부의 판정[1]
테스트혈중 CRP 농도 검사[1]

C반응단백 (C-reactive protein, CRP)는 인간혈장에서 발견되는 고리 모양의 펜타머 단백질로, 흔히 인체가 염증 상태인지 파악할 때 검사할 수 있는 단백질이다. 염증 상태에서 혈액 속의 CRP의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2] CRP는 급성기 단백질로 분류되며, 대식세포T세포에서 IL-6이 분비됨에 따라 혈중 농도가 증가한다. C반응단백의 생리학적인 역할은 죽어가거나 죽은 세포의 표면에 발현된 리소포스파티딜콜린에 결합하여 C1q를 매개로 한 보체계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3] CRP는 간에서 합성되며[2], 대식세포지방세포가 내보내는 신호에 따라 합성이 조절된다.[4] 또한, CRP는 처음으로 밝혀진 패턴인식수용체(PRR)이기도 하다.[5]

구조

  • C반응단백의 구조 모델링
    C반응단백의 구조 모델링
  • C반응단백의 구조 모델링
    C반응단백의 구조 모델링

같이 보기

  • 염증
  • 급성기 단백질
  • 적혈구침강속도 (ESR)

각주

  1. “C-Reactive Protein (CRP)”. 《Lab Tests Online》. 2019년 12월 23일에 확인함. 
  2. Pepys MB, Hirschfield GM (June 2003). “C-reactive protein: a critical update”.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1 (12): 1805–12. doi:10.1172/JCI18921. PMC 161431. PMID 12813013. 
  3. Thompson D, Pepys MB, Wood SP (February 1999). “The physiological structure of human C-reactive protein and its complex with phosphocholine”. 《Structure》 7 (2): 169–77. doi:10.1016/S0969-2126(99)80023-9. PMID 10368284. 
  4. Lau DC, Dhillon B, Yan H, Szmitko PE, Verma S (May 2005). “Adipokines: molecular links between obesity and atheroslcerosi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Heart and Circulatory Physiology》 288 (5): H2031–41. doi:10.1152/ajpheart.01058.2004. PMID 15653761. 
  5. Mantovani A, Garlanda C, Doni A, Bottazzi B (January 2008). “Pentraxins in innate immunity: from C-reactive protein to the long pentraxin PTX3”. 《Journal of Clinical Immunology》 28 (1): 1–13. doi:10.1007/s10875-007-9126-7. PMID 17828584. 

외부 링크

  • (영어) C-reactive protein - 메드라인플러스
  • 염증, 뇌졸중, 심혈관질환에서 CRP의 역할 (미국심장협회)
  • 의학주제표목 (MeSH)의 C-Reactive+Protein
  • 진단검사의학과 CRP Archived 2017년 8월 29일 - 웨이백 머신 - Lab Tests Online
  • CRP: analyte monograph Archived 2020년 4월 5일 - 웨이백 머신 - The Association for Clinical Biochemistry and Laboratory Medicine
  • George Vrousgos, N.D. - Southern Cross University Archived 2020년 2월 18일 - 웨이백 머신
  • 인간 CRP 게놈 위치와 CRP 유전자의 상세한 설명은 UCSC 게놈 브라우저에 있습니다.
전거 통제: 국가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프랑스
  • BnF 데이터
  • 이스라엘
  • 미국
이 글은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생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