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거제역으로 진입하고 있는 38104편성 동해선에서 다시 운행 전
거제역으로 진입하고 있는 38104편성 동해선에서 다시 운행 전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통근형 전동차
제작사 현대로템
운영 회사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제작 연도 2016년, 2018년, 2025년
생산량 17편성 68량
사용량 17편성 68량
제원
양 수 4량
편성구조 Tc-M'-M'-Tc
차량 정원 (제어차) 148명
(구동차/부수차) 160명
편성 정원 2736명
전장 19500 mm
전폭 3120 mm
전고 3750 mm
차량 중량 259.8 t
편성 중량 2078.4 t
궤간 (mm) 1,435
성능
동력 방식 동력분산식
전기 방식 교류 25,000 V 60 Hz
제어 방식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 최고 속도 ATS/ATP 구간 110 km/h
설계 최고 속도 120 km/h
감속도 3.5 km/h/s
(비상시) 4.5 km/h/s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보안 장치 ATS/ATP (수동운전)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현재 총 4량 16개 편성(64량)은 광역전철 동해선 부전 ~ 태화강 구간에 운행하고 있으며, 4량 1개 편성(4량)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임진강 ~ 문산 ~ 가좌 ~ 서울역, 용산 구간에 운행하고 있다.

기술적 사양

제어기기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후기형 및 서해선 광역전철에서 운행한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1차분에서 사용된 우진산전, 도시바제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사용한다.

실내 설비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와 내장재, 신호 방식을 제외한 모든것이 동일하므로, 2018년에 증차분으로 도입된 2차분의 경우, 2016년에 도입된 1차분 전동차와는 달리, 자동 통로문을 아예 없애고 통로폭을 넓혔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중 최초로 비상사다리가 설치되었다.

운전 설비

기존 차량들의 전면부보다 운전실 창을 넓히고, 형태를 약간 바꾸어 시야를 개선하였으며, 1인 승무에 대응하도록 CCTV 모니터 및 ATS/ATP 속도계가 장착되어 있다.

편성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로 구성되어 있다.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3810XX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3811XX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변환장치)
3812XX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변환장치)
3819XX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배속

세대

1세대

1차분 (38101~110편성, 2016년 2월~7월)

2016년 12월 30일 1단계 개통을 위해 도입된 차량.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1차분)와 형제기라고 할 정도로 많이 닮았다. 그러나 차상장치에선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2세대

2차분 (38111~117편성, 2018년 3월~9월)

2021년 12월 28일 2단계 개통을 위해 도입된 차량이고,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 주둥이라 불리는 첫 세대다.

현재 운행구간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1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8101 편성 2016년 운행 중 동해선 개통 전 병점차량기지로 차출되어 시운전한 이력이 있다. 38104편성은 임진강역에 처음으로 진입했다. 381001-381009편성은 경의중앙선 임진강~문산~가좌~서울역,용산 구간에서 알바운행한 이력이 있다.
38102 편성 운행 중
38103 편성 운행 중
38104 편성 운행 중
38105 편성 운행 중
38106 편성 운행 중
38107 편성 운행 중
38108 편성 운행 중
38109 편성 운행 중
38110 편성 운행 중 현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임진강 ~ 문산 ~ 서울역/용산역 구간에서 운행하고 있다. 도라산역에 처음으로 진입했다.

2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8111 편성 2018년 운행 중 동해선 개통 전 병점차량기지로 차출되어 시운전한 이력이 있다.
38112 편성 운행 중
38113 편성 운행 중
38114 편성 운행 중
38115 편성 운행 중
38116 편성 운행 중
38117 편성 운행 중

3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8118 편성 2025년 예정 제작 예정 북울산역 연장 대비 증차 발주분이다.

사진

기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차출 운행

2019년 4월 16일, 4월 23일. 381x11~17편성이 시운전을 마치고 영업운행에 투입되면서 381x01~04편성이 부산차량사업소에서 의왕역으로 갑종회송되었고, 이와 함께 5월부터 서울~문산, 문산~임진강 구간에 투입되어 운행했다가 2021년 1월 20일(381x01~02), 1월 27일(381x03~04)에 다시 내려가서 동해선 광역전철에서 운행 중이다. 반대로 2021년 1월 19일(381x05~07), 1월 26일(381x08~10) 6편성 올라와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운행을 했었다. 이는 부산차량사업소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울산차량사업소2021년 8월 25일에 완공되기 전까지, 전동차를 유치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2021년 9월 30일(381x05~06, 38109) 3편성이(#5231 문산~가야), 2021년 12월 20일(381x07~08) 2편성(#5231 문산~울산기지)도 동해선 광역전철로 다시 복귀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 남은 열차는 38110편성 1개 편성 뿐이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v
  • t
  • e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증기 기관차디젤 기관차전기 기관차증기 동차가솔린 동차디젤 동차전기 동차
고속형
일반 간선형
광역전철/도시철도형
객차 및 화차자기부상열차검측차
가로줄 : 운행 중단. 1 : 도입 예정. 2 : 귀빈 전용. 3 : 협궤 전용.
기울임 : 기술 개발용.